 imgur
imgur
고양이를 키우는 집사들이라면 생각지도 못한 고양이의 남다른 유연성에 한 번쯤은 놀라신 적이 있으실텐데요.
어떤 모양의 그릇이든 몸을 자유자재로 쏙 들어가는 고양이를 가리켜 집사들은 ‘고양이 액체설’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몸집이 아무리 커도 제집 마냥 자연스럽게 제 몸을 집어넣는 고양이 ‘액체설’에 대해 직접 파헤친 과학자가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 ‘고양이 액체설’은 사실이었습니다.
 imgur
imgur
2년 전인 지난 2017년 프랑스 리용대학 과학자 마르크 앙투안 파르딘(Marc-Antoine Fardin)는 ‘고양이 액체설’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데버러 수(Deborah Number) 수학공식을 이용해 ‘고양이 액체설’이 사실이라는 결과를 2014년 유변학 블루틴에 소개했습니다.
(데버러 수 수학공식이 뭐냐구요? 죄송합니다. 수포자였기에 이해하려고 해도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네요. 아시는 분 친절한 설명 댓글 부탁드려요!)
한 발 더나아가 마르크가 이끄는 연구팀은 아기 고양이가 나이 든 고양이보다 유연함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까지 내렸다고 하는데요.
 imgur
imgur
‘고양이 액체설’은 진짜였다는 마르크의 논문은 기발한 연구 또는 아이디어에 수여하는 이그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일각에서는 ‘고양이 액체설’에 대해 고양이가 연체동물처럼 좁은 곳도 아주 손쉽게 통과할 수 있는 이유는 척추뼈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사람의 척추뼈는 33개에 불과하지만 고양이는 이보다 훨씬 많은 53개를 가지고 있어 몸을 더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다는 주장인데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결론을 정리해서 말하자면 ‘고양이 액체설’은 사실이었다는 것입니다.
 imgur
imgu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