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 시킨 사실에 죄책감 견디지 못한 수의사 살아생전 모습 / weibo
아픈 동물들을 치료하겠다는 소명의식을 안고 수의사라는 직업을 선택했지만, 현실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한 수의사님의 안타까운 사연이 있습니다.
국립 대만대학교 수의과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할 만큼 뛰어났던 그녀는, 남들이 꺼리는 동물보호소에서 수의사로 일하는 길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그녀가 보호소에서 마주한 현실은 꿈꾸던 것과는 너무나 달랐습니다. 그녀의 주된 업무는 병든 동물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공고 기간이 지난 수백 마리의 유기동물들을 안락사시키는 일이었습니다.
이 동물들은 대부분 주인에게 버려지거나 학대당한 채 구조된 가여운 생명들이었습니다.
수의사로서 소명 의식을 가지며 일했다는 수의사 / weibo
대만의 한 동물보호소에서 근무하던 지엔즈청(簡稚澄) 수의사님은 3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 참혹한 업무를 반복해야 했습니다.
동료들은 그녀가 수많은 동물들에게 안락사 주사를 놓아야 하는 현실에 깊이 괴로워하고 힘들어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자신이 너무 많은 생명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죄책감에 시달리던 그녀는, 유기동물에 대한 사회적 실태를 고발하고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용기를 내어 TV 방송에 출연했습니다.
방송에 출연해 유기동물 안락사하는 실태 고발한 당시 모습 / weibo
방송에서 그녀는 자신이 지난 2년 동안 약 700여 마리의 유기견을 안락사시켰다고 고백하며 현장의 고통을 알리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방송국은 그녀의 고백을 "아름다운 도살자"라고 묘사하는 등 자극적인 내용으로 편집했고, 방송 후 그녀에게는 수많은 악성 댓글과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상황을 바꾸고자 했던 용기가 오히려 비난의 화살이 되어 돌아오자, 그녀는 점점 더 고통 속으로 침잠했습니다.
수의사가 되고자 했던 처음의 꿈은 산산조각 났고, 수백 마리 생명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은 그녀를 짓눌렀습니다.
실태 폭로 이후 악플에 시달리며 힘든 나날 보낸 수의사 / weibo
결국, 지엔즈청 수의사님은 더 이상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유기동물들을 안락사시킬 때 사용하던 약물을 자신의 팔에 스스로 주입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현장에서 발견된 유서에는 "인간의 삶도 결국 강아지와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니 나 또한 약물로 죽겠습니다"라는 글이 적혀 있어 많은 이들을 더욱 슬프게 했습니다.
유기동물의 안락사는 결국 인간의 무책임과 잘못에서 비롯된 비극임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죄책감과 비난을 한 수의사가 감당해야 했던 현실은 씁쓸함을 남깁니다.
유기동물 문제를 고발하고 사회의 인식이 나아지기를 바랐던 그녀의 진심과 달리, 돌아온 비난에 그녀는 수의사라는 사명을 내려놓아야 했습니다.
안락사 시킨 사실에 죄책감 견디지 못한 수의사 살아생전 모습 / weibo
그녀의 안타까운 죽음 이후, 대만 사회에서는 유기동물 보호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고 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유기동물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될 사회적 책임입니다.
모든 동물들이 우리와 똑같이 소중한 생명과 감정을 가진 존재임을 잊지 말고, 더 나은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