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 같은 기다란 부리 가지고 있지만 진화를 이상하게 한 바다 생물

BY 장영훈 기자
2025.07.27 10:30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Ocean Info


바다 생물이라고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길고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는 물고기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뿔 같은 기다란 부리가 이 물고기의 매력 포인트라면 포인트.


특히 잡을 때마다 목숨을 걸고 잡아야 할 정도로 공포의 물고기라고 하는데 의외로 진화를 이상하게 한 바다 생물로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Marlin 


보고 또 봐도 기다란 부리 밖에 시선이 가지 않는 이 물고기의 정체는 무엇일까. 길고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라는 이 물고기는 '청새치(Striped Marlin)'라고 합니다.


주로 인도양에서 태평양까지 따뜻한 열대 해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청새치는 뾰족한 부리로 사냥하는 것으로 유명한 어류인데요.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Passports to Fishing


낮에는 2~3마리가 짝을 지어 해수면 가까이에서 헤엄을 치고 다니다가 밤이 되면 깊은 바다로 내려가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록을 보면 청새치는 몸 길이가 최대 5m에 달하고 최고 무게는 900kg이라고 하니 할 말을 잃게 합니다. 괜히 최상위 포식자가 아닙니다.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reddit


최상위 포식자로 통하는 청새치의 가장 큰 특징은 뿔 같은 기다란 부리입니다. 길고 뾰족한 부리는 누가 봐도 찌르기 공격이 매우 유효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게 청새치의 특징이라면 특징.


다만 청새치는 길고 뾰족한 부리로 찌르기 공격 보다는 돌진해서 베어버리는 방식으로 사냥을 한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찌르기 사냥을 할 경우 먹이를 먹지 못하기 때문이죠.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Mexican Fish


청새치는 긴 부리로 인해서 윗턱과 아래 턱의 길이 차이가 심하다보니 꼬챙이처럼 먹이를 꿰어버릴 경우 먹이를 먹지 못하게 되는데요.


일각에서는 청새치가 부리에 꽂혀져 있는 먹이를 흔들어서 빼 먹을 정도로 지능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면서 의외로 진화를 이상하게 한 바다 생물이라고 평가하고는 합니다.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FishTrack


뾰족하고 기다란 부리가 있어 사냥하게 더할나위 없이 편하고 좋을 것 같지만 먹잇감을 찌르는게 아니라 베는 방식으로 사냥을 할 수밖에 없는 신세인 건 참으로 아이러니 하죠.


그렇지만 결코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웬만한 물고기들을 두 동강 낼 수 있을 정도로 그 위력은 상당히 강력하다고 합니다.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American Oceans


참고로 청새치는 미국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중편 소설 '노인과 바다'에도 등장해 이름을 알리기도 했었는데요.


생김새 그대로 무시무시한 최상위 포식자로 통하는 청새치는 열대 바다에서 정어리, 멸치, 고등어떼 등 다양한 어류를 주로 사냥해서 잡아 먹습니다.


애니멀플래닛


애니멀플래닛길고 뾰족한 부리 가지고 있는 대형 해양 포식성 어류 / Salt Water Sportsman


보고 또 봐도 압도적인 비주얼과 길고 뾰족한 부리는 후덜덜 하게 만드는 청새치. 실제 배를 침몰하게 한 사례도 있어 놀라울 따름입니다.


한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청새치는 위험종 및 위기종은 아니지만 예측가능한 장래에 멸종확률이 높은 종으로 분류돼 있다고 하네요.

장영훈 기자 [hooon@animalplanet.co.kr]